‘워라밸 시대’ 맞아 새삼 주목 받는 집단지성 플랫폼 모자이크(MOSAIC)
시원한 이마에 선명한 눈망울, 오뚝 날이 선 코에 꼭 다문 입술, 그리고 광채 나는 뺨…. 한때 지중해 일대를 누비며 전 세계를 떨게 했던 알렉산더대왕[1]이 전투에 몰입하는 모습, 정확히는 그 옆모습을 글로 표현하자면 꼭 이렇다. 기원전 4세기, 짧은 생애를 불태웠던 영웅의 외모는 원형 그대로 2000년이 넘은 지금까지 고스란히 전해진다....
View Article“오래된 문제와 새로운 기술, 위대한 생각이 모여 혁신을 만든다”
덴마크 북부 유틀란트반도에 위치한 소도시 브뢴더슬레유(Brønderslev). 지난봄, 1만2000여 명이 조용히 살아가던 이곳에 별안간 글로벌 미디어의 관심이 집중됐다. 청정에너지만으로 난방과 전력을 공급하는 세계 최초 도시가 된 덕분이다. 청정에너지만으로 난방∙전력 공급하는 최초 도시 지난 3월 20일<현지 시각> 라르스 릴레홀트(Lars...
View Article꺼진(줄 알았던) 기술도 다시 보자!… ‘1994년생 QR코드’ 이야기
용이한 데이터 저장, 빠른 연결 속도가 강점 이상은 QR코드 활용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하 ‘QR코드 결제 시스템’)이 한국 사회에 정착된 이후 상황을 상상, 구성한 것이다. QR코드 결제 시스템은 몇몇 나라에선 이미 일상으로 자리 잡은 상태. 모바일 페이 선진국인 덴마크와 스웨덴, 그리고 신용카드 체계가 정착될 수 있는 인프라 확보가 어려워 역설적으로...
View Article‘캐리비안 해적’의 본거지, 블록체인 선진국으로 거듭나다
‘카리브해의 실리콘밸리’. 최근 카리브해 도서(島嶼)국가 중 하나인 바하마연방(Commonwealth of Bahamas, 이하 ‘바하마’)이 밀고(?) 있는 표현이다. 지난 6월 20일<현지 시각>부터 사흘간 개최된 ‘바하마 블록체인·가상화폐 컨퍼런스’에선 “바하마를 ‘카리브해의 새로운 실리콘 수도(new Silicon capital in...
View Article프로듀서 S, 카자흐스탄 초원서 말·양과 씨름하고 ‘쇼칸’ 되기까지
∙ 이 글은 실제 영상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와의 인터뷰 내용을 1인칭 시점에서 재구성한 결과물입니다 ∙ 본문에 삽입된 사진은 전부 갤럭시 S9로 촬영됐습니다 “어떡하죠? 지금 옐다르가 자기 말(馬)이 사라졌다고 정신이 없는데….” 카자흐스탄에 도착한 지 사흘째. 별 탈 없이 이어지던 촬영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 이번 영상의 사실상 주인공인 19세...
View Article생활에 힐링을, 디지털 기기에 쉼표를… 세계 각국에 부는 ‘디지털 디톡스’ 열풍
#1 #2 #3 “과도한 SNS 몰입, 뇌 구조 바꾼다” 위 글은 온라인 여행 안내·예약 웹사이트 ‘패덤(Fathom)’이 선정한 ‘2018년 10대 오프더그리드(off-the-grid) 여행지’ 중 세 장소에 대한 설명을 발췌, 정리한 것이다. 세 곳 모두 대단히 특권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두드러지는 공통점은...
View Article쓰이지 않던 ‘90% 정보’가 꿈틀댄다, 다크데이터
우주는 인류가 모르는 물질로 가득 차있다. 우주까지 갈 것도 없다. 지구상의 땅과 물, 대기는 물론이고 인체에도 인지되는 물질보다 그렇지 않은 물질이 훨씬 더 많다. 실제로 인간이 감각 기관을 통해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물질은 우주 구성 물질 전체의 5%도 채 안 된다. 그럼 나머지 95%는? 현재까지의 연구로 밝혀진 사실은 (95% 중) 25%가...
View Article“소통도 비디오로!” 브이로그(Vlog) 시대 살아가기
브이로그(Vlog), 혹은 비디오로그(Video Log). 최근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 시작돼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뒤흔들고 있는 키워드 중 하나다.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가 합쳐진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 브이로그는 블로그처럼 특정 의견이나 이야기가 수록된 온라인 담론 형태를 띠며 비디오를 그 매체로 활용한다. 브이로그가 빠른...
View Article온라인 광고, 변화상을 읽으면 지향점이 보인다
이상은 심리학 분야 명저 ‘설득의 심리학’[1]을 쓴 로버트 치알디니(Robert Cialdini) 박사가 2007년 ‘광고의 심리학’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이다. “사람들이 광고를 보고 물건을 살 때엔 이 여섯 가지 심리학적 원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TV 광고에 이 원칙을 하나씩 적용해보면 과연 고개가 끄덕여진다. 우선 ‘권위의 원칙’은...
View Article‘빅데이터 구슬’ 꿰어 보배 만드는 마법, 액셔너블 애널리틱스
고객 관련 변수, 기업이 실시간으로 알아챌 수 있다면? 위 세 상황의 공통점은 곤란한 순간, ‘흑기사’처럼 등장한 스마트폰 메시지다. 각각의 메시지에 은행과 부동산 개발 회사, 파티 업체의 명칭과 로고까지 선명히 박힌다면 광고 효과 측면에서 ‘이보다 더 좋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생기는 궁금증 하나. 메시지를 발신한 기업은 그 순간 자사 고객이...
View Article내년 ICT 트렌드? 새로운 건 없다, 그래서 더 혼란스럽다
2019년을 겨냥해 제기되는 ICT 트렌드 예측 담론엔 지난해까지의 그것과 좀 다른 점이 눈에 띈다. 이런저런 키워드를 들고 그 개념을 하나씩 설명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이미 나와있는 키워드가 성숙해지고 실용화되는 흐름을 분석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 다시 말해 ‘전혀 새로운’ 키워드는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는 게 ‘트렌드(담론)의...
View Article‘디지털 전환’ 꿈꾸는 기업이 유념해야 할 키워드 3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엣지 컴퓨팅, 대화형 플랫폼, 몰입 경험, 블록체인, 이벤트 드리븐, 사이버 시큐리티…. 이 단어들엔 공통점이 있다. 지난해 가을부터 꾸준히 ‘2018년도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선도할 트렌드’로 꼽혀온 키워드란 사실이 그것이다. 실제로 올 한 해 사람들이 이런 단어에 익숙해지는 사이, 각각의 키워드로 표현되는...
View Article“성공을 원한다고? 당신의 실수가 뭔지부터 파악해라”
성공은, 때로 정반대 단어인 실패 속에 열쇠를 숨겨놓는다. 리더십 전문가이자 하버드비즈니스리뷰[1] 선정 ‘최고 구루 100인’ 중 한 명인 미국인 스킵 프리처드(Skip Prichard)는 실패 대신 ‘실수’에 주목했다. 그에 따르면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의 차이는 ‘실수를 반복하느냐’의 여부다. 성공하는 사람은 한 번 저지른 실수를 되풀이하지...
View Article“널리 알려진 ‘CEO 성공 신화’, 태반은 엉터리”
기업 최고경영자(CEO)는 오르기 어렵고 유지하긴 더더욱 힘든 자리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주변 환경을 예의주시하는 동시에 그에 맞설 최선의 경영 전략까지 구상해야 하기 때문이다. 너도나도 CEO에게 조언을 건네지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최종 결정은 CEO 본인의 몫이다. 제아무리 좋은 보스(boss)였던 사람도 막상 CEO가 되고 나면 결과에 따르는...
View Article자아실현과 행복, 두 마리 토끼 잡기
‘계속 이렇게 살고 싶진 않아’, ‘내가 정말로 하고 싶던 일은 이런 게 아냐’, ‘흔히들 ‘버티라’고 하는데 버티면 언젠가 정말 행복해질까?’ 자신이 꿈꾸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주변을 둘러보면 현실의 벽에 부딪혀서, 또는 남들 다 하는 대로 진로를 택해 살아가는 사람이 더 많다. 그렇다 보니 좋아하는 일을 직업 삼아 돈까지 잘 번다는...
View Article‘타이밍은 과학!’ 업무 효율 높이는 나만의 시간대 찾기
진로 선택, 대학 졸업, 취업, 결혼…. 인생은 선택의 순간으로 가득 차 있다. 그 선택을 ‘언제’ 하느냐에 따라 우리 삶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풀린다. ‘모든 일엔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너무 당연해 진부하기까지 한 이 말. 하지만 우리가 타이밍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건 많지 않다. “최고의 결정을 내릴 최적의 시간, 숨은...
View Article“브랜드 성공의 키(key), 조직문화부터 살펴야”
“위대한 조직을 만든 리더들은 어떻게 자신만의 브랜드를 만들었을까? 또, 브랜드의 성공을 이끈 조직문화는 어떻게 만들고 조직원과 공유했을까?” 리더를 꿈꾼다면 한번쯤은 궁금해 했을 질문, 여기에 꾸준히 답을 제시하는 이가 있다. 2015년 우리나라에 번역 출간된 《브랜드 비즈니스》(원제 ‘What Great Brands Do’)의 저자 데니스 리...
View Article프로듀서 S, 밀라노서 ‘패션’아닌 ‘베베(bebe)’를 외치다
∙ 이 글은 실제 영상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와의 인터뷰 내용을 1인칭 시점에서 재구성한 결과물입니다 “드디어 폭풍 같던 일정이 모두 끝났구나!” 여기는 이탈리아 말펜사(Malpensa) 공항. 엿새간의 일정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국제선 비행기 안이다. 이륙 전 안내방송이 나오고 승객의 안전 점검을 마무리 짓는 승무원들을 보니 그제서야 안도감이...
View Article데이터 분석, 이제 ‘남 일’아니고 내 일!
바야흐로 빅데이터 시대다. 우리의 일상과 업무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매 순간 데이터로 기록된다. 내가 어딜 가는지, 무얼 사고, 누굴 만나는지에 대한 모든 게 모바일 디바이스와 생활 속 주변 기기를 통해 저장된다. 모든 게 데이터화(化)되는 시대엔 개인·기업·정부가 비교적 쉽게 대량의 데이터를 손에 넣을 수 있다.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라도...
View Article정보통신기술과 기후변화, 그 오묘한 함수관계
폭염(暴炎). 올여름, 전 세계 매스미디어가 앞다퉈 헤드라인 뉴스 소재로 다루고 있는 키워드다. 실제로 지구, 특히 북반구를 중심으로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는’ 이상고온 지역이 급격하게 늘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6월 2일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근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악의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기온은 왜 이렇게 갑작스레...
View Article